[경기IN이슈=지용진] 능력보다 상황일 때가 있다.

인지심리학에 따르면 우린 상황의 지배를 받는다. 본질보다는 프레임에 휘말려듦을 뜻한다.

이를테면 능력과 소양은 되나 이같은 선량이 지방선거에 공천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돈과 조직이 있어야 선거에 뛰어들 수 있다.

결국 선거는 내용보다 외연의 힘겨루기라 할 것 같다.

민주와 국힘의 외연 싸움에 수성이냐 탈환이냐를 놓고 한판 싸움이 거창한 이때다.

외연도 좋지만 기왕이면 내연의 진정성과 의식도 갖춘 이들이 등용됐으면 한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지방선거 후보들 중 전과자 비율이 꽤 된다. 피치 못할 상황도 있겠다 하지만 전과가 있는 자체가 용서되진 못한다.

이중에는 음주운전 전력 등과 더불어 사기 등 각종 파렴치범 전력자도 있어 문제다. 여야 각 당의 검증 시스템이 문제가 있는 것이다.

지자체장은 능력도 좋지만 높은 도덕성도 요구된다. 시에서 벌어지는 각종 인-허가의 결정자가 사기에 연류된 이력이 있다면 그 공신력을 믿을 수는 없다.

기초단체 의원의 경우도 그렇다. 항간에는 각종 이권의 로비스트 역할을 자청-타청하며 암암리 이에 유리한 조례를 만들어 통과시키는 등의 제보 등도 입수되고 있다.

청백리 같은 청렴함을 기대하기 힘든 시대라지만 최소한 기본적인 공중도덕이라도 제대로 지켜야 하는 게 아닌가. 이권과 금권의 제2중대 역할을 자처할 정도라면 아예 그 자격은 애초부터 문제다. 그런데도 검증이 제대로 이뤄졌다 볼 수 없는 후보들이 선거를 뛰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검증에 있어 언론도 한몫한다. 받아쓰기로 일관하다 보면 검증은커녕 언론의 주 역할인 비판 기능도 흐려진 맹탕 기사가 난무한다.

공정한 선거 시스템과 비판언론이 부재하다면 유권자가 판단할 기초적인 것이 공약인데 이 공약의 진정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테면 현명한 유권자의 판단을 요한다는 의례적 홍보에 의존하는 선관위도 관성적 대응을 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선거공보물에 의도적으로 전과 사항이 작게 또는 눈에 안띄게 출판을 허용하는 것도 유권자를 기만하는 직무유기인 것이다.

기본적인 사항이라도 제대로 실천하길 바라나 기대에 못미쳐 선거법위반 논란 뉴스가 종종 보인다.

나라의 선량을 뽑는 일이다. 앞으로 4년을 책임질 이들을 고르는 데 우리가 판단할 제대로 된 시선과 정보가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