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권(한국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차상권(한국기업연구원 연구위원)

[광교신문=차상권 칼럼] 2010년 이후 지자체마다 사회적경제에 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는 사회적경제가 가지는 순기능이 지방자치단체에 유의미한 변화를 창출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유럽과 캐나다를 비롯한 여러 해외 사례는 안정적인 사회적경제의 정착이 지역사회의 갈등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에 관한 소식은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란 시장경제의 최고 가치인 이윤의 추구가 아닌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는 경제활동을 가리킨다는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점차 도외시되는 인간의 가치를 다시금 높이는 역할도 맡고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사회적 가치에 관심을 둔 사람들이 그 사업을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회사를 운영하다가 문득 사회적 가치에 후속적으로 관심을 두는 것과는 그 결이 다르다.

그래서 정부와 지자체는 앞다투어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인식하고 공유하기 위한 조례 제정, 사회적경제 담당 부서 설치 등의 노력을 꾸렸다.

경기도 내 시군에서 사회적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조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우선구매’ 제도와 같은 장치로 이끌어가고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초기도 성장을 넘어 성숙에 가까운 현재에도 수익의 창출이나 사세 확장에 어려움을 겪는다. 돈도 돈이지만 인력확보가 되지 않아, 안정적인 운영에 관한 기술이 부족한 실정에서 올해 출범한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의 역할이 더욱 기대된다.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향점은 어찌 보면 다소 명확하다.

고객이 ‘사주는 것’이 아니고 ‘사고 싶은’ 재화를 생산하고 선망이 되는 유망한 스타 기업이 나온다면, 사회적경제의 자생적 생태계는 자연스럽게 구축될 것이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 칼럼은 신문사의 논지와 견해에 있어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