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개라는 동물은 지금으로부터 1만2000년 전 늑대가 개로 진화해 우리와 함께 했다. 우리의 민화에 흔한 소재고 또 삽살개 풍산개 진돗개 등 우수 품종도 많다.

필자도 개를 좋아한다. 그래서 개고기는 먹지도 않는다. 동물을 사랑하는 것도 있지만 음식을 선택하는 취향이기 때문이다.

최근 개고기 식용금지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찬반이 뜨겁다.

“한 나라 전통의 보양식인데 전면 금지라뇨. 심각히 우려됩니다. 언제부터 정권 차원에서 국민의 고유한 먹거리를 금지시켰나요”라며 우려를 표하는 글도 있다.

음식 문화적 측면에서 다른 해석이며 엄연한 국민 ‘먹거리’라는 논리다. 무분별한 개도살은 엄중히 반대하나 식용을 금지하는 것이 정부의 ‘월권’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동물 보호 법률학자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개고기 식용을 금지해 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나는 그 학자의 인터뷰를 들으면서 그분의 입장이 일면 타당하다고 여겼다. 그 이유의 하나는 그가 모든 동물의 도축을 반대하는 ‘채식주의자’기 때문이다. 즉 소고기도 닭고기도 안 된다는 것이다.

그분의 인터뷰에 따르면 요는 이상적인 채식주의의 하나로 개고기 식용을 금지하자는 것이다. 이런 논리라면 이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고기 논쟁에 있어 국민의 먹거리까지 국가가 간섭할 것이냐는 사안이 중요한 요지다.

국격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에도 국민의 음식 선택권에 ‘윤리적 책임을’ 전가할 수 있을까 의문도 든다. 국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할 여지로 비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동물법률학자의 예를 들었듯 모든 동물을 먹지 않는 입장이라면 인정할 수 있겠으나 우리국민 모두가 채식주의자일 수는 없다.

또 엄연히 한 나라의 음식문화고 국민 일부라도 이 음식을 먹을 의지는 있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 채식주의의 입장이라면 모를까 음식의 선택권을 차별할 여지가 있다.

우선 무분별한 도축을 금지하고 엄격히 식용과 반려를 구분하는 게 우선이라 여겨진다.

현재 국민 여론은 5 대 5로 갈리고 있다. 그러나 음식은 기호에 따라 먹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 수치가 말해주듯 먹는 사람도 있고 안 먹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

단지 개고기 식용 반대 여론이 50프로나 되니 식용을 금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판단은 그래서 무리가 따른다.

이번 논쟁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 조치에 있어 우선 주목되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