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인터넷신문과 인연을 맺은지도 14년차다. 이전 오프라인 신문에 있었고 대판 12면과 타블로이드 등을 편집했다. 더 소급해 지역지와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를 다뤘다. 

매체는 기능적인 부분은 다 거쳤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론의 사명도 잘 알고 있다. 불편부당의 자세로 시대 정신을 꿰뚫는 춘추필법에 충실해 왔는 지에 대해 늘 반문하고 자성한다.

솔직히 인터넷신문의 수입구조가 열악한 처지에서 14년을 견딘다는 건 소속 매체로서나 또 제 3자의 객관적 입장에서나 녹녹치 않은 작업이었다.

그 중 수입 구조에 있어 행정광고에 의존하는 부분도 반성할 점의 하나나 기업광고를 유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기업에서 인터넷 매체의 광고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 하는 것도 있지만 워낙 많은 인터넷 매체가 있어 선별도 어렵고 광고를 선뜻 줬다가 다른 매체의 구애로 몸살을 앓는 측면도 있다. 

관공서의 광고도 쉽지는 않다. 관과 반대되는 입장으로 대치될 때 일부 지자체에서는 패널티로 작용해 불이익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인터넷신문이 관공서에서 광고를 유치하는 명분은 어떤 것일까. 지자체를 홍보하는 수단 이상의 시 또는 도 등 행정부를 객관적이고도 균형잡힌 시선으로 독자께 제대로 올바로 알리는 차원과 상응한 시민의 격려로 나는 해석한다. 

언론과 지자체 간 건강한 관계를 통해서 서로간 발전해 나가는 책임과 의무에 대한 상응 급부로 본다.  그러기에 시민의 세금으로 유치 되는 행정광고는 무엇보다 공정해야 할 명분을 지닌다.

그 중심에 가장 중요 가치는 매번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는 언론이 갖는 공정의 건강성이다. 독자에게 읽혀지는 행위를 통해 제대로 된 언론의 영향력을 펼치는 지에 대한 올바른 옴브즈만이 필요한 이유다.

몇 개월이면 내가 소속한 인터넷매체가 15년차가 된다. 이른바 꺽어진 '30'인데 햇수를 넘어 흔들리지 않는 매체 고유의 언론관과 전통을 지켜감에 부끄럽진 않은 가 자문할 시점에 다다랐음을 고백한다. 

미사여구 쏙 빼고 '다양한 정보와 가치를 닮은 건강한 울림'이었는 지 늘 되새기려 한다.

무엇보다 독자에게 사랑 받는 매체상 정립에 소홀하지 않았는 지 늘 채찍질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