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코로나19로 인해 우리사회 전반에 가속화되고 있다는 인상이다. 이는 디지털화라는 과학적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 전반적 문화 콘텐츠 – 가 결합된 새로운 양식의 비대면 콘텐츠가 대량 생산되면서 적용되고 있는 단계라 진단된다.

코로나19라는 위기가 4차 산업혁명을 앞당기고 또 문화예술계도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가지 않으면 생존하기 힘든 현실과 맞닥뜨리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이 같은 움직임에 있어 새로운 공연 문화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기술의 진보는 이를 가능케 하고 있다. 추이를 지켜봐야겠으나 엄청난 조류와도 같은 대변화가 하나씩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가 곧 비전인 시대다. 문화는 양식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왜 사는가'에 대한 물음의 해답으로 삶의 내용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즉 문화예술의 질이 우리는 잘 살고 있음의 척도다. 이런 내용을 만족시킬 수 있는 나라가 미래형 선진국이라 말 할 수 있겠다.

좀 더 진보된 사회는 사회-경제적 측면도 고려돼야 하겠지만 인간적 휴머니티의 완성형이란 측면에서 문화예술이 가져다주는 높은 행복도는 21세기의 가치와 맞닿아 있다고 여겨진다. ‘인간은 왜 행복한가’라는 물음의 해답에 답하기 위한 이러한 가치가 미래사회를 보다 풍요롭게 한다.

문화선진국이 구호만으로 이뤄질 수 없듯 문화예술이 경제성장처럼 수치로 매겨질 수 있는 게 아닌 정신문화적 측면의 성숙이란 점에 주목한다.

어린 아이가 노래를 흥얼거리기까지 많은 부모의 교육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우리도 문화라는 이 개념을 한 층 질 높은 단계까지 국민 모두가 골고루 향유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인적 물적 투자가 장기적으로 병행돼야 한다.

이에 따른 과감한 투자가 있어야만 가능하며 이같은 생각이 사회지도층 등에 확산돼 문화정책의 한 획을 그을 수 있어야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21세기의 벽두부터 몰아닥친 코로나19라는 대위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 시대의 진정한 가치는 무엇이었는가 의문을 던지고 있다.

가난한 자도 부자도 이 위기를 피해갈 수 없다. 또 우리의 삶이 제한되는 이 위기 속에서 인류는 생존의 몸부림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이 시대 새로운 휴머니티의 출구를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바로 여기에 문화의 힘이 녹아나야 한다. 새로운 삶의 양식과 조류를 세우지 않는 한 우리의 이같은 숙제는 소원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