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신문=김병수의 제주도사나] 엊그제 제안서에 대해 말하다 해겔, 벤야민을 운운하며, 서술의 앞 부분은 ‘개념과 범주’를 / 중간 부분부터는 ‘해체와 리좀’을 생각하라 했다.

내 딴에는 일반적인 인식과 동시에 / 다른 접근이 가능해야 자기 것이 된다고 말한 것인데, 내가 왜 이런 철학 용어를 동원하는 것인지 스스로 궁금해졌다. 

 

가만 보면 젊을때 책이나 문학지 영화지 등을 통해 사회나 문화에 대한 탐구가 자연스러웠다면, 나이들면서는 뭔가를 이뤄야 한다는 강박과 힘의 관계에 의존해 과거 기억을 투쟁일변으로 단순화 한 것도 원인이란 생각이 든다. 자극적이고 화려한 경력이 도움 될테니...

아침에 청소와 빨래를 마치고 어제 걷기의 피로로 지친 몸을 달래며 쉬었다. 궁금증도 달랠겸 유튜브로 철학 강의를 들었다. 

 

주제가 비판이론 이니 아도르노나 벤야민이 나온다.  전에는 마르크스와의 상관성에서 보이던 것이, 지금은 그 둘이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 살던 유대인 이었다는 사실을 주목하게 한다. 결국 내가 생존하는 환경이 세계관에 영향을 미친다. 

라때에서 벗어나려면 과거의 경험을 자기 권력을 위해 편향되게 사용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시대에 쫒기던 철학자에게서 위대한 유산이 나오기 마련이듯.

 

* 글 • 사진 : 김병수 제주시청 문화도시센터장 페이스북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