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언택트 시대의 소통 방식은 고민일 수밖에 없다. 특히 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예술 분야와 언론사 – 중앙 지방 지역을 떠나 – 등은 고민 중이다.

유튜브를 통해 만나는 간접적 공연 체험과 메시지 전달 등으로 분화하고 있으나 이 또한 한계를 지닌다. 대면하는 콘텐츠는 매력적인 수단이고 효과적인 전달 방식이었음을 이제사 깨닫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가 바꿔놓은 일상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우리의 생활 양식 전반에 끼치는 영향은 지금도 진행중으로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이제 전인류적 숙제가 됐다.

4차 디지털 혁명과 맞물려 언택트 공연 등과 메시지 전달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부익부 빈익빈식으로 명암이 갈리기도 한다.

이 또한 자본의 투자와 대중성 등 여러 요소가 어우러져야 가능한 일이다. 유튜브 채널만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퀄리티를 확보하기 위해선 전문적 촬영 장비와 함께 편집 시스템을 포괄하는 인력 등이 충원돼야 한다.

물론 스마트폰 하나만 있어도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시대 아니냐라는 보편적 콘텐츠 생산을 말하는 분도 계시나 일정 부분의 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상당한 투자가 병행돼야 한다.

유튜브의 콘텐츠도 결국은 질적인 내용을 충족하는 제작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 전망해 본다. 단순한 호기심 차원을 떠나 양질의 구독자가 정기적으로 찾을 수 있는 내용적 안정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이다.

이런 상황 인식으로 볼 때 지금 우후죽순으로 진행되며 쏟아지고 있는 무차별적 유튜브 콘텐츠도 양질의 콘텐츠라는 주류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언론사도 고민이 아닐 수 없다. 텍스트와 포토 위주의 콘텐츠에서 영상을 접목해 내보내고 있지만 아직 일천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솔직히 고백할 시기다.

지면이나 인터넷 언론사가 방송사 흉내를 낸다는 것도 본질을 떠난 것으로 어디까지나 유튜브 콘텐츠를 기존 언론의 베이직에서 보조적 효과적 수단이라는 원칙을 되새겨야 한다.

이 부분을 충족할 콘텐츠에 대한 많은 고민 속에 이 보조적 메시지 전달 매체에 대한 여러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음을 인정한다.

광교신문 또한 이런 선상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왔고 발전적 계승의 과정을 겪으며 한층 진보한 콘텐츠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도 밝힌다.

독자의 판단은 냉정하다는 것을 되새기면서.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