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도시가 성장하며 등장한 메가 시티의 출현 등 도시의 발전과 변천 과정을 지켜보면서 느끼는 것이 있다면 이에 걸맞는 문화적 토양과 함께 세련된 행정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규모 위주의 접근이 아닌 다양한 문화 플랫폼을 충족하는 요소요소의 소규모 문화적 거점들이 네트워크를 이루며 조화롭게 어우러질 순 없을까.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자족도시의 면면을 만족하는 공공기관의 순기능에 대한 기대는 만족할 만한가.

드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도시에서 어떻게 문화 플랫폼의 거점 공간을 마련할 수 있을까.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쓸모 있는 중-소 규모의 문화 거점 공간을 확보하는 데 있어 여러 어려움들을 어떻게 타개해 나가야 할까.

이른바 도시재생이란 기존의 양식을 탈피한 적극적이고 능동적 동기와 의미를 부여하는 데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 또 자본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는 바다. 그렇다고 투자 대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대하는 것도 논리의 우일 것이다. 여기에 땀과 열정으로 만들어가는 통찰력 있는 기획력이 필요하다.

자연스러운 도시와 사람 그리고 문화라는 양식의 진화 과정에 대한 세심한 고찰이 필요한 이유기도 하다. 이를 묶고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문화기획자의 유무도 중요한 요소다.

이들을 누가 성장시킬 것인가. 경기도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문화재단의 역할을 주목한다. 재단을 통해서 양성되는 문화기획자의 교육과 성장 그리고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

시 산하의 기관으로만 머물 수 없는 보다 능동적이고 장기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가능한 일이다. 여러 문화재단에 대한 해당 시정부의 예산 삭감은 그래서 아쉽다. 단발성 사업도 어려운 형편에서 장기적 안목의 사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은 당연지사다.

100만 도시의 성장과 함께 문화 인프라에 대한 갈증은 보다 증폭되고 있다. 도시인들이 현대적 도시의 조형물에서 살며 함께 즐길 수 있는 참여형 문화 프로그램에 문화기획자의 양성은 이제 필수적 요소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시정부 차원에서 양질의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뒷받침하는 문화재단 차원의 교육 프로그램이 열린 채널을 통해 기획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내일의 도시는 어떤 모습으로 성장할 것인가. 양적인 팽창이 곧 질적인 성장일 순 없다. 100만 도시의 내일을 여는 자치적 문화 콘텐츠가 상시적으로 논의돼야 할 이유고 이를 성장시킬 문화기획자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성장하고 있는 도시의 미래에 대한 안목이 필요한 시기고 또 이를 기획해야 할 적기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