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문화예술계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일부는 랜선공연을 선보이기도 하고 또 발코니 공연 등으로 잠재된 시민의 문화예술 욕구를 채우고 있는 상태다.

주춤하던 코로나 확진자 추세가 산발적인 코로나 집단 감염이 현실화된 상태서 공연-전시장을 통해 우리가 기존에 누렸던 문화적 수혜를 되찾는 데는 아직 적지 않은 시간이 요하게 됐다.

공연수입으로 먹고사는 연극 뮤지컬 등의 공연계에 종사하는 분들의 수입원이 막히면서 어려움은 현실적 곤궁함으로 다가서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살길이 막힌 프리랜서로 분류되는 예술가 등에 대한 지원에 나섰으나 생계의 일부를 만족하는 수준이다.

경기도의회 최만식 의원은 최근 예술가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과 협조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용역을 통해 이들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4대 보험은 물론이고 창착할 수 있는 기본소득 개념이 도입돼야 한다는 진보적 제안이다. 예술가에 있어 창작할 공간과 재원의 지원은 내일의 문화도시를 만들 수 있는 자양분이기에 그렇다.

이들 대부분이 비정규직이고 또 상시적 고용이 아닌 임직 상태에서 고용 불안을 늘 안고 살아야 한다는 현실도 이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눈물 젖은 빵’에서 예술이 나온다는 고루한 예술관은 현실과 먼 얘기가 된지 오래다. 오히려 예술가가 최소한 자신의 예술혼을 펼칠 수 있는 최소 경비를 지원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필요한 시대다.

막대한 비용이 사회 전반의 문화-예술계에 투입이 되지만 정작 예술가들의 빈궁한 생계가 관심 밖인 현실은 우리 문화-예술의 초라하고도 궁색한 자화상임을 깨달아야 하지 않을까.

이는 사회-제도적인 최소 생계 비용의 보장을 통해 예술가의 창작의욕을 북돋고 지자체 나아가 대한민국의 문화 잠재력을 한층 배가할 수 있는 단초로 작용할 수 있다 확신한다.

다행히 경기도의회 등에서 이들에 대한 기본소득을 연구 용역을 주어 활로를 찾는다 하니 그나마 다행이라 여겨진다.

많은 이들의 공감과 지지를 통해 이같은 움직임이 구체화돼 경기도 뿐만 아닌 대한민국 예술인들이 어깨피고 활동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