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이슈=지용진] 코로나 사태로 인해 공연 전시 등의 문화행사가 크게 위축되는 걸 떠나 연주자와 공연자 등의 설자리마저 위협받고 있는 지경에 이르렀다.

고육지책으로 각 시 문화재단 차원에서 랜선공연 등을 선봬고 있지만 이 또한 아직 갈 길이 멀다. 무엇보다 각종 촬영장비 등이 구비돼야 하고 여기에 앞서 기획 연출 등을 준비하기엔 적지 않은 부담이다.

발코니서 감상하는 찾아가는 연주 등은 새로운 발상이긴 하지만 이 행사가 단지 일회성이라면 또 코로나가 당분간 계속되리라는 가정하에 연주를 펼치는 주최측에서도 체력적 정신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소극적 거리두기 완화로 야외 공간에서 사회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됐으나 관중이 운집하는 상황에서 연주를 가정하기도 힘들다.

코로나 블루로 지치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기는 시민이나 연주자 공연자도 마찬가지다. 이들 또한 대면 접촉에 있어 보호돼야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실내를 벗어난 야외공연의 경우 대면 접촉을 차단한 발코니 콘서트의 연장선에서 뚜껑 없는 이층버스에서 야외 체육 시설 등 소극적 거리두기가 허용된 곳에서 연주 등을 펼칠 수 있지 않을까.

환기가 되는 야외에서 대면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는 이층버스가 무대가 돼 체임버 오케스트라가 연주를 펼치는 풍경을 상상해 본다.

일종의 이동형 문화 전도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코로나 블루로 지치고 우울한 시민에게 안전한 방법으로 연주를 선뵐 수 있는 아이디어라고 생각된다.

물론 연주를 위한 연주라는 사고는 지양돼야 한다.

다만 코로나 사태 속 문화 행사에 목말라하는 시민을 향한 연주자의 설자리를 마련하고 이들의 공연을 통해 그나마 코로나 블루로 우울할 법한 도시에 활력을 불러일으킬 단초는 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다.

이같은 아이디어를 짜내야 하는 대중을 상대하는 문화계의 위기 속 특히 연주자의 관점에서 최적의 아이디어로 이층버스를 제안한다.

생각의 발상을 조금 바꾸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팬데믹으로 세계적 대유행을 맞고 있는 코로나 사태가 당장에 종식된다면야 이같은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인가.

침체되고 있는 도시에 음악을 선사하는 찾아가는 연주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저작권자 © 광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